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경주 맛집
- 클라우드
- 프론트엔드
- IT
- AWS
- 경주 맛집 추천
- 황리단길 맛집
- 리눅스
- Doker
- 네트워크
- 잠실 맛집
- 도커
- 로지텍
- 속초 맛집
- 맛집 추천
- 경주 여행
- docker
- IT 신기술
- 속초 여행
- SQL 기초
- kubernetes
- 러닝
- IT자격증
- cloud
- 쿠버네티스
- 카페 추천
- 코딩
- Amazon Web Service
- 경주
- 쿼리 기초
- Today
- Total
목록리눅스 (6)
Devops 엔지니어 솔렐레 IT
안녕하세요. 솔렐레입니다. 오늘은 리눅스에서 많이 사용하는 vi 에디터에 대해서 정리하려고 합니다. vi 에디터를 자주 사용하지만 명령어가 항상 헷갈려서 매번 찾아보곤 했었는데 이번 정리를 통해서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많은 분들이 리눅스 vi 에디터를 사용하시면서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 vi 를 처음 시작하게 되면 명령모드로 작동하게되며 i 나 a 를 누르면 입력 모드에서 원하는 글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다시 명령모드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esc 를 누르면 되며, 명령모드에서 : (콜론)을 입력하면 콜론 모드에서 명령을 할 수 있습니다. vi 에서 텍스트를 편집할 때 유용하게 사용했던 기능들에 대해서 아래 정리해보았습니다. 1. 명령 모드 x : 커..
안녕하세요. 솔렐레입니다. 리눅스 OS 관련해서 기본 디렉토리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디렉토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자주 헷갈렸었는데요. 이번에 정리하면서 많은 분들도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기본 지식으로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home 사용자 홈 디렉토리가 생성. 작업 디렉토리라고 불리움 /bin 실행 가능한 명령이 들어있는 디렉토리. sh 파일 옮겨놓으면 명령어로 실행 가능함 /lib 기본 라이브러리 외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media CD_ROM이나 USB같은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디렉토리 /opt 추가 패키지가 설치되는 디렉토리 /dev 장치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 /root root 계정의 홈 디렉토리 (/ 디렉토리와는 다릅..
안녕하세요. 솔렐레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리눅스 마스터 X 윈도우와 인터넷 활용, 응용 분야입니다. 리눅스 마스터 정리에 대해 마지막 포스팅이 될 것 같습니다. 끝까지 열심히 하셔서 자격증 취득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리눅스 마스터 2급 요약정리 - X 윈도우] * X 윈도우: 각종 유틸리티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제공 1) X 프로토콜: X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 메시지 타입, 교환 방법 규정 2) X 서버: 접근 허용, 자원 공유, 메세지 전달 등 중계 담당 3) X 클라이언트: X 서버가 제공하는 기능 사용 참고. 원격지에서 X 클라이언트 이동 - Xhost: X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리언트 지정 또는 해제. Xhost[+ 또는 -][IP 또는 ..
안녕하세요. 솔렐레입니다. 오늘은 리눅스의 소프트웨어 설치 및 삭제와 장치 설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도 명령어와 옵션 위주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리눅스 마스터 2급 요약정리 - 소프트웨어 설치 및 삭제] - 데미안 계열 (1) 배포 업체: Debian, Ubuntu (2) 패키지 툴: apkg, apt-get, aptitude - 레드헷 계정 (1) 배포 업체: CentOS, RHEL, Fedora (2) 패키지 툴: rpm, yum 1. RPM: 레드헷 사에서 만든 패키지 툴. rpm[옵션][패키지명] 옵션 설명 -i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 -h 패키지를 출 때 # 마크 표시 -U 기존의 패키지를 업그레이드 -e 패키지 제거 -g 패키지 설치 여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