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loud
- AWS
- 클라우드
- 네트워크
- Amazon Web Service
- 황리단길 맛집
- 속초 맛집
- 쿠버네티스
- 쿼리 기초
- 코딩
- 맛집 추천
- 도커
- IT
- 러닝
- IT 신기술
- 로지텍
- 잠실 맛집
- IT자격증
- kubernetes
- 리눅스
- 카페 추천
- 경주
- 프론트엔드
- 경주 맛집 추천
- docker
- 경주 맛집
- SQL 기초
- 경주 여행
- Doker
- 속초 여행
- Today
- Total
Devops 엔지니어 솔렐레 IT
리눅스 마스터 2급 - 2차 시험 총 정리 4 (X 윈도우/ 인터넷 활용/ 응용 분야) 본문
리눅스 마스터 2급 - 2차 시험 총 정리 4 (X 윈도우/ 인터넷 활용/ 응용 분야)
솔렐레_ 2019. 9. 20. 09:00안녕하세요. 솔렐레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리눅스 마스터 X 윈도우와 인터넷 활용, 응용 분야입니다. 리눅스 마스터 정리에 대해 마지막 포스팅이 될 것 같습니다. 끝까지 열심히 하셔서 자격증 취득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리눅스 마스터 2급 요약정리 - X 윈도우]
* X 윈도우: 각종 유틸리티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제공
1) X 프로토콜: X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 메시지 타입, 교환 방법 규정
2) X 서버: 접근 허용, 자원 공유, 메세지 전달 등 중계 담당
3) X 클라이언트: X 서버가 제공하는 기능 사용
참고. 원격지에서 X 클라이언트 이동
- Xhost: X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리언트 지정 또는 해제. Xhost[+ 또는 -][IP 또는 도메인명]
- Xauth: Xauthority 파일 쿠키 내용 추가, 삭제, 출력. 원격 접속을 허가할 때 생성되는 키 값을 인증할 때 사용. MIT-MAGIC-COOKIE-1 값 사용
1. 윈도우 매니저: X 윈도우 상에서 창의 배치와 표현을 담당. 라이브러리는 xlib와 XCB 사용
- 종류: twm, fvwm, afertstep, window maker, kwm, Blackbox
2. 데스크톱 환경: 윈도우 매니저, 파일 관리자, 도움말 등 다양한 도구를 제공하는 패키지 형태의 프로그램
- 아이콘 창, 도구 모음, 폴더, 배경 화면, 위젯 기능 제공
- 드래그 앤 드롭 기능, 프로세스 간 통신 기능
- 종류: KDE, GNOME, LXDE, Xfce
3. 디스플레이 매니저: X server 접속과 세션 시작 담당. ID/PW 받아 인증하여 세션 시작
- 종류: xdm, kdm, gdm, dtlogin
4. X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
오피스 | LibreOffice |
- Writer 문서 작성기 |
gedit | 텍스트 편집 | |
kwrite | KDE기반 텍스트 편집 | |
nautilus | GNOME 기반 파일 관리 프로그램 | |
그래픽 | GIMP |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
ImageMagick | 이미지 생성 및 편집 | |
eog | GNom의 이미지 뷰어 | |
kolourpaint | Ubuntu의 이미지 편집 | |
gThumb | GNOME의 이미지 뷰어 | |
gwenview | KDE의 이미지 뷰어 | |
멀티미디어 | Totem | GNOME 기반 사운드 및 비디오 |
RHYTHMBOX | 통합형 음악 관리 프로그램 | |
CHEESE | GNOME 기반 동영상 프로그램 | |
기타 | Dolphin | KDE용 파일 관리자 |
kSnapshot | 스크린샷 프로그램 |
[리눅스 마스터 2급 요약정리 - 인터넷 활용]
1. LAN 구성 장비
(1) 케이블: SX(단파장), LX/LH(장파장), FX(광전송)
- UTP: 꼬임선이 피복이 아님, 이더넷
- STP: 꼬임선이 피복, Token-ring
2. UTP 케이블링
(1) 다이렉트 케이블: 이기종 방지 연결, 568B-568B
(2) 크로스오버 케이블: 같은 기종 장비 연결, 568B-568A
- 568B: 흰주-주-흰녹-파-흰파-녹-흰갈-갈
- 568A: 흰녹-녹-흰주-파-흰파-주-흰갈-갈
3. IOS 7계층
계층 | 설명 |
물리 계층 | 물리적인 연결 |
데이터링크 계층 | 데이터 전송 형식 결정, 오류 검출 가능 |
네트워크 계층 | 최적 경로 관리, IP, ICMP, IGMP, ARP, RARP |
전송 계층 | 종단 간 연결, 논리적인 통로 제공, TCP, UDP |
세션 계층 | 연결 설정, 유지, 해제 |
표현 계층 | 부호화(encoding), 압축, 암호화 |
응용 계층 | 서비스 제공, SMTP, POP, TELNET, SSH, FTP, HTTP, SNMP, DHCP |
4. 인터넷 서비스
(1) FTP: 20, 21번 포트 사용
(2) DNS: 도메인 네임 서비스
com |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관 | mil | 군사 기관 |
net | 네트워크 기관 | edu | 교육 기관 |
org | 비영리 기관 | int | 국제 조약으로 만든 기관 |
kr, jp, fr | 국가 기관 |
(3) TELNET: telnet[도메인명][포트 번호]
(4) SSH: ssh[옵션][IP 주소 또는 도메인명] 또는 ssh[계정자명@서버IP]
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1) 수동
- lsmod: 현재 적재되어있는 모듈들의 정보 확인 (list)
- insmod: 적재하고자 하는 모듈을 삽입 (insert)
- rmmod: 현재 적재되어있는 모든 모듈 제거 (remove)
- modprobe: 모듈의 적재 및 제거
(2) 자동: /etc/modprobe.conf
6. 네트워크 파일 설정
/etc/protocols | 서비스 가능한 프로토콜 목록 확인 |
/etc/sysconfig/network | 기본적인 네트워크 기본정보 설정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X | 지정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환경 설정 정보확인 |
/etc/resolv.conf | 도메인명과 네임서버 설정 |
/etc/hosts | 도메인에 대한 IP 주소를 조회 |
/etc/servies | 인터넷 서비스 관련 포드번호 확인 |
7.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 TCP/IP 주소 설정 정보 확인: inconfig, nslookup
- 네트워크 경로 상태 확인: ping, traceroute
- 네트워크 연결 상태 확인: netstate
- 라우팅 테이블 확인: route
- NIC 상태 확인: ethtool, mil-tool, arp
(1) netstate: netstate[옵션]
옵션 | 설명 |
-r | 라우팅 테이블 표시 |
-e | 랜카드에서 송신한 패킥의 용량 및 종류 확인 |
-n | IP 주소 형태로 주소와 포트 표시 |
-i | 인터페이스의 정보 출력 |
-s | 프로토콜의 상태 보여줌. IP, ICMP, TCP, UDP 통계치 표시 |
-c | 1초 단위로 보여줌 |
-l | 현재 listen 되고 있는 소켓 정보 표시 |
-a | 모든 포트 번호 표시 |
(2) ipconfig: ipconfig 인터페이스명 <IPaddr>netmask<addr>[broadcast<addr>][up or down]
(3) route
- 라우팅 테이블 설정 확인: route<add or del>[-net or -host NETaddr][netmask MASKaddr][dev 인터페이스명]
- 디폴트 gateway로 라우팅 테이블 설정: route add default gw<GW>dev<인터페이스명>
[리눅스 마스터 2급 요약정리 - 응용 분야]
1. 클러스터
- 고계산용 클러스터: HPC, 베어울프 클러스터, 고성능 계산이나 과학 계산용
- 부하분산 클러스터: LVS, 대규모 서비스 제공, 균등하게 데이터 분산
- 고가용성 클러스터: HA,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적, 로드밸런서, 통신 이상 유무 점검, 백업
2. 하이퍼 바이저: 하드웨어 다수의 가상 머신이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원
- Xen: 리눅스 기본 커널에 포함. 반가상화/전가상화
- KVM: CPU 전 가상화 방식
- Vitual Box: 오라클, 독자적인 가상 관리자, 전가상화
이것으로 리눅스 마스터 2급 2차 시험에 대한 총정리를 마무리하겠습니다. 리눅스 마스터 자격증 공부를 하면서 리눅스에 대한 개념은 물론이고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명령어들에 대해 많이 공부가 된 것 같습니다. 대학생이나 회사 초년생들이 개념 정리를 위해서 공부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Devops 엔지니어가 알려주는 IT 기본 지식 > IT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기출 문제 / 풀이 / 개념) - CloudFormation (0) | 2022.05.14 |
---|---|
리눅스 마스터 2급 - 2차 시험 총 정리 3 (소프트웨어 설치 및 삭제/ 장치 설정) (0) | 2019.09.18 |
리눅스 마스터 2급 - 2차 시험 총 정리 2 (쉘/ 프로세스 관리/ 에디터) (0) | 2019.09.16 |
리눅스 마스터 2급 - 2차 시험 총 정리 1 (권한 및 그룹 설정 / 파일시스템 관리) (0) | 2019.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