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IT
- 프론트엔드
- 도커
- Amazon Web Service
- 러닝
- cloud
- 경주
- IT 신기술
- 경주 맛집
- 네트워크
- 쿠버네티스
- 카페 추천
- 속초 여행
- AWS
- 쿼리 기초
- 클라우드
- 경주 맛집 추천
- IT자격증
- 잠실 맛집
- docker
- 리눅스
- 속초 맛집
- kubernetes
- 경주 여행
- Doker
- 코딩
- 로지텍
- SQL 기초
- 황리단길 맛집
- 맛집 추천
- Today
- Total
Devops 엔지니어 솔렐레 IT
리눅스 마스터 2급 - 2차 시험 총 정리 1 (권한 및 그룹 설정 / 파일시스템 관리) 본문
리눅스 마스터 2급 - 2차 시험 총 정리 1 (권한 및 그룹 설정 / 파일시스템 관리)
솔렐레_ 2019. 9. 14. 09:00
안녕하세요. 솔렐레입니다.
오늘은 18년 12월에 취득했던 리눅스 마스터 2급에 대한 내용들을 총 정리하려고 합니다. 공부를 하면서 많이 나왔던 내용들이나 암기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들을 정리하였습니다. 앞으로 시험을 보시는 분들한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이번 포스팅을 적습니다.
[시험 기본 정보]
리눅스 마스터는 리눅스 OS에 대한 지식과 서버, 네트워크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필기시험(1차)은 온라인 시험으로 어디서든 PC 만 있으면 편하게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 실기 시험(2차)은 필기시험으로 구성되어있고 1년에 4회 진행하므로 정보통신기술 자격 검정 공식 홈페이지에 가셔서 미리 일정을 확인하시고 준비하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리눅스 마스터 실기는 크게 세 가지 섹션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리눅스 일반, 리눅스 운영 및 관리, 리눅스 활용으로 시험이 나누어져 있습니다. 특별한 응시자격 제한은 없으며 1차는 15,000원 2차는 30,000원의 응시료가 필요합니다. 리눅스 마스터 시험은 기본 개념에 대한 암기와 기출문제를 통한 오답 정리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리눅스 마스터 2급 요약정리 - 권한 및 그룹 설정]
1. Umask: 파일 기본 권한 666, 디렉토리 기본권한 777
2. 특수 권한
(1) SetUID: 소유자의 권한으로 실행하는 권한. (chomd u+s 파일명 또는 chmod 4755 파일명)
(2) SetGID: 그룹 권한으로 실행하는 권한. (chmod g+s 파일명 또는 chmod 2755 파일명)
(3) Sticky bit: 공유 디렉토리로 사용하는 권한. (chmod o+t 파일명 또는 chmod 1777 파일명)
3. 디스크 쿼터: 사용자나 그룹이 생성할 수 있는 파일의 용량 및 개수 제한 (inode, 블록수 제한)
(1) quotaoff: 쿼터 서비스 비활성화
옵션 | 설명 |
-a | 파티션 정보 출력 |
-u | 사용자 쿼터 비활성화 |
-g | 그룹쿼터 비활성화 |
-v | 메세지 출력 |
(2) quotacheck: 디스크의 사용 상태 검색
옵션 | 설명 |
-a | 모든 파일 시스템을 체크 |
-u | 사용자 쿼터 관련 체크 |
-g | 그룹 쿼터 관련 체크 |
-m | 재마운트 생략 |
-n | 첫번째 검색된 것을 사용 |
-p | 처리 결과 출력 |
-v | 파일 시스템의 상태를 보여줌 |
(3) edquota: 편집기를 이용하여 디스크 사용량 할당 (#edquota[옵션][계정명 또는 그룹명])
옵션 | 설명 |
-u | 사용자 디스크 할당 설정 |
-g | 그룹 디스크 할당 설정 |
-t | 디스크 할당량 유예기간 설정 |
-p | 디스크 할당량 설정을 다른 사용자와 동일하게 설정 |
(4) setquota: 명령행에서 직접 디스크 사용량 할당 (#setquota[옵션][그룹명 또는 계정명][Block soft limit][Block hardlimit][inode soft limit][inode hard limit][파티션명])
옵션 | 설명 |
-u | 사용자 디스크 설정 |
-g | 그룹 디스크 설정 |
-a | 해당 시스템의 모든 설정 |
-t | 유예 기간을 초(sec) 단위로 설정 |
[리눅스 마스터 2급 요약정리 - 파일 시스템 관리]
1. mount: 장치와 디렉터리 연결. mount[옵션][디바이스명][디렉토리명]
옵션 | 설명 |
-a | /etc/fstab 파일에 정의된 모든 파일 시스템 마운트 |
-n | /etc/mtab 파일에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마운트 |
-f | 실제 마운트가 아니라 마운트 가능한지 테스트 |
-t | 파일 시스템 지정 (원하는 fs 마운트) |
-o | 추가 설정 (ro, rw, loop, remount, sync, user) |
2. umount: umount[옵션][디바이스명][디렉토리명]
옵션 | 설명 |
-a | /etc/mtab/에 명시된 파일 시스템 마운트 해제 |
-n | /etc/mtab 파일을 갱신하지 않고 마운트 해제 |
-t | 언마운트할 파일시스템 지정 |
3. eject: 보조 기억장치(DVD, CD-ROM) 미디어 해제. eject[옵션][디바이스명]
옵션 | 설명 |
-r | 시디롬을 eject |
-f | 플로피를 eject |
4. fdisk: 파티션의 생성, 삭제, 타입 결정. fdisk[옵션][장치명]
옵션 | 설명 |
-v | fdisk 버전 정보 표시 |
-l | 현재 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 정보 표시 |
-s | 지정된 파티션의 크기를 블록 단위로 표시 |
=> fdisk 명령어: p 시스크 정보 표시 / n 파티션 생성 / t 파티션 속성 지정 / d 파티션 삭제 / w 변경된 파티션 정보 저장 / q 파티션 설정 작업 종료
5. mke2fs: ext2~4 타입의 fs 생성. mke2fs[옵션]장치명
옵션 | 설명 |
-t | 파일 시스템 타입 지정 (ext2, ext3, ext4 등) |
-j | 파티션을 ext3(저널링 파일 시스템)으로 설정 |
-b | 블록 크기를 byte 수로 지정 |
-f | 프래그먼트 크기 지정 |
-i | inode 당 byte 수를 지정 |
6. fsck: fs의 무결설 점검, 복구. lost+found 디렉터리 사용. fsck[옵션]장치명
옵션 | 설명 |
-A | /ect/fstab에 표시된 모든 fs 점검 |
-a | 질의 없이 자동 복구 |
-r | 질의 후 자동 복구 |
-s | fsck 동작을 시리얼화, 대화형 모드에서 유용 |
-t | 점검할 fs 유형 지정 |
7. e2fsck: ext2~4의 리눅스 fs 생성 (포맷)
옵션 | 설명 |
-p | fs 검사하면서 자동으로 복구 |
-n | 모든 질문 응답을 no로 취급 |
-y | 모든 질문 응답을 yes로 취급 |
-c | Bad block을 체크 |
-f | 깨끗한 fs까지 강제적으로 체크 |
8. du: 디스크 사용량 확인 (디렉토리별). du[옵션][파일 및 디렉토리명]
옵션 | 설명 |
-h | 용량 단위로 표시 (KB, MB, GB) |
-a | 디렉토리가 아닌 모든 파일에 대한 정보 표시 |
-m | 결과 값을 MB로 표시 |
-s | 사용량의 총 합계만 표시 |
-c | 모든 파일의 디스크 사용량을 보여주고 합계를 표시 |
-k | 결과 값을 KB로 표시 |
9. df: 마운트 된 하드디스크의 남은 용량 확인(파티션 별).
옵션 | 설명 |
-h | 용량 단위로 표시 (KB, MB, GB) |
-T | 파일시스템 유형과 파티션 정보 출력 |
-t | 표시되는 파일시스템 유형을 지정 |
-a | 모든 파일 시스템을 출력 |
-i | inode 사용률, 사용 공간, 사용 퍼센트 확인 |
10. /etc/fstab: 사용하고 있는 fs정보를 정적으로 저장. fs정보와 부팅 시 마운트 정보를 가지고 있음
이번에는 리눅스에 대한 권한, 그룹 설정과 파일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와 옵션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쉘과 프로세스 관리에 대한 내용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evops 엔지니어가 알려주는 IT 기본 지식 > IT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기출 문제 / 풀이 / 개념) - CloudFormation (0) | 2022.05.14 |
---|---|
리눅스 마스터 2급 - 2차 시험 총 정리 4 (X 윈도우/ 인터넷 활용/ 응용 분야) (1) | 2019.09.20 |
리눅스 마스터 2급 - 2차 시험 총 정리 3 (소프트웨어 설치 및 삭제/ 장치 설정) (0) | 2019.09.18 |
리눅스 마스터 2급 - 2차 시험 총 정리 2 (쉘/ 프로세스 관리/ 에디터) (0) | 2019.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