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속초 여행
- IT
- AWS
- 속초 맛집
- 리눅스
- 도커
- 로지텍
- 황리단길 맛집
- Amazon Web Service
- 경주 여행
- 잠실 맛집
- 카페 추천
- IT 신기술
- 쿼리 기초
- 경주
- 쿠버네티스
- 코딩
- IT자격증
- 경주 맛집 추천
- 경주 맛집
- cloud
- docker
- 맛집 추천
- 프론트엔드
- Doker
- 클라우드
- kubernetes
- 네트워크
- 러닝
- SQL 기초
- Today
- Total
목록Devops 엔지니어가 알려주는 클라우드 지식 (18)
Devops 엔지니어 솔렐레 IT

1. Pod Pod 안에는 하나의 독립적인 서비스를 구동할 수 있는 컨테이너가 존재하고 그 컨테이너들은 서비스가 연결될 수 있도록 포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 Pod는 동일한 Host를 사용하고 있고 각각의 컨테이너는 같은 Pod 안에서는 같은 포트는 가질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Pod가 생성될 때 고유의 IP가 생성이 되는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안에서 해당 IP로 접근이 가능하며 외부에서는 해당 IP로는 접근을 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Pod에 문제가 생기게 되면 해당 IP는 변경이 될 가능성이 있어 휘발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 Label 라벨은 Pod뿐 아니라 모든 오브젝트에 생성 가능하며 Pod에서 가장 많이 사용이 됩니다. 라벨을 사용하는 이유는 목적에 따라 오브젝트들을 분류하고 분류된 오브..

안녕하세요. 솔렐레입니다. 쿠버네티스에 대한 정리를 해나갈 예정입니다. 점점 더 학습을 진행해서 부족한 부분은 추가하고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수정하면서 포스팅을 이어나갈 계획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트래픽과 자원을 미리 예측하기가 어려워지고 여러 서비스를 운영한다면 더욱 운영하기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 기술과 컨테이너를 활용한 기술이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운영의 규모가 커질수록 쿠버네티스의 효율이 더욱 좋아지게 되는데요. 그 이유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 자동화 기능 - 오토 스케일링 - 오토 힐링 - 무중단 서비스 가능 2. VM vs Container - VM: Host OS 위에 Hypervisor(ex. vmware, KVM, Virtual Box)에 별도 Geust O..

컨테이너에 있는 서비스마다 Config 값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개발, 운영환경 각각 다른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른 값을 관리하기 위해서 별도의 이미지로 관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ConfigMap과 Sercret을 통해서 별도 관리가 가능합니다. 분리해야하는 상수들을 모아서 ConfigMap을 만들고 보안적인 관리가 필요한 값을 모아서 Sercret을 생성합니다. Pod 생성 시에 이 두 오브젝트를 연결하게되면 컨테이너에 있는 환경변수에 해당 데이터가 들어가게 됩니다. 1. Env(환경 변수) config 값을 넣을 때 상수로 넣을 수도있고 파일로 넣을 수도 있습니다. 먼저 상수로 넣는 방법은 ConfigMap은 key와 value로 구성이 되어있고 필요한 상수들을 정의해놓으면 Pod..

안녕하세요. 솔렐레입니다. 오늘 설명드릴 내용은 쿠버네티스의 Kube Controller Manager 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관제사는 선박 사무소와 같이 선박에 대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거나 개조할 책임이 있는 배의 사무실이나 부서의 역할을 합니다. 새로운 배가 도착할 때마다 또는 배가 떠나거나 부서지면 그에 따른 관리하는 사무실 또는 사람과 같습니다. 사무실에서는 손상되거나 배가 가득 찬 컨테이너를 관리하고 이 관제사는 계속해서 배의 상태를 살피고,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합니다. 쿠버네티스에서 컨트롤러는 시스템 내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전체 시스템을 원하는 작동 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노드 컨트롤러는 노드 상태를 모니터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