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kubernetes
- IT자격증
- 경주
- 쿠버네티스
- IT
- 로지텍
- 프론트엔드
- docker
- Doker
- 러닝
- 클라우드
- 경주 맛집
- SQL 기초
- 속초 여행
- 황리단길 맛집
- IT 신기술
- 맛집 추천
- AWS
- 코딩
- 리눅스
- 쿼리 기초
- 속초 맛집
- 경주 여행
- 카페 추천
- 잠실 맛집
- 네트워크
- cloud
- Amazon Web Service
- 도커
- 경주 맛집 추천
- Today
- Total
목록쿠버네티스 (14)
Devops 엔지니어 솔렐레 IT

쿠버네티스의 노드는 한 Master와 연결이 되고 이를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라고 합니다. 클러스터 내에는 Namespace가 구성되어 각각의 독립적인 환경을 구성해주고 있는데 이 Namespace 내에 ResourceQuota를 설정하여 Namespace 가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 Pod에서 너무 많은 리소스를 사용하지 않도록 LimitRange를 설정하여 한 Namespace에서 너무 많은 리소스를 사용하지 않도록 제한도 할 수 있습니다. 1. Namespace 한 Namespace 안에서는 같은 이름의 Pod를 만들 수 없고, 타 Namespace와 분리되어 관리가 되기 때문에 다른 Namespace에 있는 Service에는 연결할 수 없습니다. Namespace를 지우게..

Volume은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이 되며 이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와 분리가 되어 관리가 됩니다. 이는 크게 외부망 관리 / 내부망 관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외부망 관리로는 AWS, GCP, Azure와 같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연결된 경우입니다. 내부망 관리로는 쿠버네티스 안에 Hostpath나 local에서 관리를 하거나 On-premise Solution을 이용하거나 NFS를 통해서 Volume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emptyDir 컨테이너들끼리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서 Volume을 사용하고 최초 Volume 이 생성될 때 비어있는 것을 emptyDir이라 명칭 합니다. Volume에 마운트 된 Container는 Volume을 통해 서로 파일 공유가 가능합니다. Po..

Pod에 있는 IP는 시스템 장애나 성능 장애가 발생할 경우 언제든지 새로 생성되는 오브젝트이며 재생성이 되면 IP가 변하게 됩니다. 하지만 Service에 있는 IP의 경우는 사용자가 직접 삭제하지 않는 한 지워지지 않는 IP입니다.따라서 Service ip에 접근을하게 되면 그에 연결된 Pod에 접근을 할 수 있게 됩니다. Service는 여러 개의 Pod로 트래픽을 분산하여 전달을 해주게 됩니다. 1. ClusterIP Service IP의 종류 중 가장 기본이 되는 ClusterIP 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한 IP이지만 외부에서는 접근하지 못하는 ip입니다. 이를 ClusterIP 타입이라합니다. ClusterIP는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하기 때문에 인가된 운영자, 내부 대시보드..

1. Pod Pod 안에는 하나의 독립적인 서비스를 구동할 수 있는 컨테이너가 존재하고 그 컨테이너들은 서비스가 연결될 수 있도록 포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 Pod는 동일한 Host를 사용하고 있고 각각의 컨테이너는 같은 Pod 안에서는 같은 포트는 가질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Pod가 생성될 때 고유의 IP가 생성이 되는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안에서 해당 IP로 접근이 가능하며 외부에서는 해당 IP로는 접근을 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Pod에 문제가 생기게 되면 해당 IP는 변경이 될 가능성이 있어 휘발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 Label 라벨은 Pod뿐 아니라 모든 오브젝트에 생성 가능하며 Pod에서 가장 많이 사용이 됩니다. 라벨을 사용하는 이유는 목적에 따라 오브젝트들을 분류하고 분류된 오브..